티스토리 뷰
예술 작가를 위한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자신이 프리랜서 작가이거나 예술 분야에 속한 사람이라면 한국 예술인 복지재단에 대하여 꼭 알고 있어야 한다.
한국 예술인 복지재단에서는 예술인에 대한 여러 복지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1. 예술인 창작준비 지원금
2. 예술인 파견 지원
3. 예술인 산재 보험
4. 예술인 사회보험료 지원
5. 예술인 생활안정자금(융자)
6. 예술인 의료비 지원
7. 예술인 고용보험 지원
대표적으로는 위와 같은 정책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예술인 패스 및 예술활동 증명 같은 자신이 예술인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증서를 발급해 주기도 한다.
(※ 예술인 패스의 경우 문화예술기관 관람료 및 여러 할인 혜택을 지원해주고 있다.)
그리고, 기본소득이 낮지만 예술활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최대 300만 원까지의 창작 준비 지원까지 해주는 아낌없이 퍼주는 나무와 같은 재단이라고 할 수 있다. (※ 예술인 창작 준비 지원금)
이제 막 시작하려는 신진 작가(예술인)이라면 한국인 복지재단 사이트에 들어가 자신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 꼭 알아보기 바란다.
근로 장려금 - 국세청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근로자를 위하여 국세청에서는 "근로 장려금" 제도를 지원하고 있다.
근로 장려금은 가구 구성원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 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해 주고 있는 제도이다.
단독가구 | 홑벌이가구 | 맞벌이가구 | |
총소득기준금액 | 2,200만 원 미만 | 3,200만 원 미만 | 3,800만 원 미만 |
최대지급액 | 150만 원 | 260만 원 | 300만 원 |
가구명칭 | 가구원 구성 |
단독가구 | 배우자와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
홑벌이가구 |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
맞벌이가구 | 신청인과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이상인 가구 |
신청기간 및 신청 방법
(’21년 하반기분) 2022년 3월 1일 ∼ 3월 15일까지
(’21년 정기분) 2022년 5월 1일 ∼ 5월 31일까지
(’21년 귀속 기한 후 신청) 2022년 6월 1일 ∼ 11월 30일까지
(’22년 상반기분) 2022년 9월 1일 ∼ 9월 15일까지
※ 홈택스 접속 → 로그인 → 신청/제출 메뉴 또는 복지이음 배너 ‘근로·자녀장려금’ → ‘신청하기’ · ‘일반신청하기’
위와 같은 방법으로 근로 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이 낮은 프리랜서라면 꼭 지원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국민내일배움카드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훈련비 등을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
1인당 300 ~ 500만 원까지 훈련비의 45 ~ 85%를 지원해 주고 있다.
지원 대상은 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HRD-NET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카드 신청을 할 수 있다.
( 현직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졸업예정자 이외 재학생, 연 매출 1억 5천만 원 이상의 자영업자, 월 임금 300만 원 이상인 대규모기업종사자(45세 미만)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은 제외 )
지식은 곧 힘이 되는 세상에 살고 있기에, 위와 같은 제도는 놓치지 말고 활용하기 바란다.
고용보험 미 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 고용노동부
소득활동을 하고 있으나 고용보험의 '출산전후휴가급여'를 지원받지 못하는 출산여성에게 출산급여 지원(총 150만원, 월 50만원 X 3월분)을 통해 모성보호와 생계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유산·사산의 경우 포함)
지급 조건
출산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그리고 출산일 현재도 소득활동을 하고 있어야 하며, 소득이 발생하여야 함.
신청 시기
출산일 ~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 가능 (※ 신청기간 내 한 번만 신청 가능하며 미신청 시 소멸)
신청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및 가까운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가능.(※ 구비 서류는 고용보험 홈페이지 확인)
프리랜서를 하고 있는 여성의 경우 출산을 하게 되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위 제도를 이용하면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치며 ...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가 있는지도 모른 채 그냥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시간이 지나 알게 되어 배가 아팠던 경험이 있기에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은 조금이나마 혜택을 받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옛 성현들은 아는 것이 힘이라 하였다.
언제 어떤 제도가 생겨 도움이 될지 모르니, 이런 정보를 찾아보고 아는 것에 소홀히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앞으로 LittleFreeLibrary에서는 프리랜서에 도움이 될만한 글을 계속 투고하겠습니다.
지속적인 관심으로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ditor by 작은프리랜서 & 셩 -
'프리랜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 노임 단가 및 연봉 체계(디자이너, SW 프로그래머) (0) | 2022.07.02 |
---|---|
프리랜서 작가 되는 방법(판타지, 웹툰, 에세이, 칼럼) (0) | 2022.06.27 |
프리랜서 프로그래머 하는 방법(알고 있으면 좋은 Tip) (0) | 2022.06.26 |
프리랜서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0) | 2022.06.19 |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및 준비자료 (0) | 2022.06.1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복식부기
- 구직
- 종합소득세 제출 자료
- 프리
- 브런치
- 건강보험
- 특수형태근로자
- 신문기고
- 지원금
- 수익
- 판타지
- 단가
- 프리랜서
- 특고
- 칼럼
- 자서전
- 프로그래머
- 디자이너
- 프로그래밍 언어
- 프로젝트
- 고용보험
- 에세이
- 산재보험
- 국민내일배움카드
- 출산급여
- 작가
- 연봉
- 융자
- 간편장부
- 임의계속가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